*20개 癌 비만영향 분석--세브란스병원 연구팀
자궁내막암 등 6개는 상관관계 '확실' 규명..식도암 등도 연관성 있어
방광·위암은 '근거 없음'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20개 암종 관련 논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췌장암과 직장암 등 6개 암은 비만과 암 발병 상관관계가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악성흑색종, 비호지킨 림프종, 식도암은 비만이 이들 유형의 암 발병을 높이는 개연성이 큰 '암시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뇌·중추신경계 종양, 유방암, 대장암 등 8개는 비만과 암 발병 상관관계가 약하고 방광암, 위암, 전립샘암 등 3개 암은 비만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신재일 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최은경 연세대 간호대 교수 연구팀은 랜싯 등 글로벌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메타분석(유사 주제 연구결과를 계량적으로 종합평가한 것)해 비만과 암 발병 상관관계를 도출했다. 공동연구팀은 비만 잣대로 체질량지수(BMI) 개념을 사용했다. 체질량지수란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것으로 수치가 25 이상으로 높으면 비만으로 분류된다. BMI 증가와 암 발생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BMI가 늘어날 때마다 암 발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여서 전 세계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백혈병, 다발골수종, 췌장암, 자궁내막암, 직장암, 콩팥세포암종, 악성흑색종, 비호지킨 림프종, 식도암, 뇌·중추신경계 종양, 유방암, 대장암, 담낭암, 폐암, 간암, 난소암, 갑상샘암, 방광암, 위암, 전립샘암 등 총 20개 암을 대상으로 BMI 증가가 암 발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이를 토대로 비만과 암 간 상관관계 강도에 따라 '확신할 만한(Convincing) 위험요인' '암시적(Suggestive) 위험요인' '약한(weak) 근거' '관련 근거 없음(no evidence)' 4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BMI 증가가 백혈병, 다발골수종, 췌장암, 자궁내막암, 직장암, 콩팥세포암종 등 6개 암에서 확신할 만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악성흑색종, 비호지킨 림프종, 식도암은 암시적 위험요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파악됐다. 암시적 위험요인이란 확신할 만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암 발병 위험을 높일 개연성이 있다는 의미다. 뇌·중추신경계 종양, 유방암, 대장암, 담낭암, 폐암, 간암, 난소암, 갑상샘암 등 8개 암은 BMI 증가와 관련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일부 관련성을 주장하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객관적인 근거로 삼기에는 부족하다는 뜻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방광암, 위암, 전립샘암의 3개 암은 BMI 증가와 해당 암 발생 사이에 아예 근거가 없는 것으로 연구팀은 결론지었다.
연구를 총괄한 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발생 위험요인으로서 비만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판이자 총정리라고 할 수 있다"며 "향후 암 위험과 관련지어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보건정책을 강화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신 교수는 "비만은 암뿐만 아니라 혈압, 지방간 등 만병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식습관 등을 조절해 적절한 체중관리에 힘쓰고 정부는 식사와 운동 등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권장하는 예방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연구결과는 유럽종양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명 저널인 '종양학 연보(Annals of 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건강 웰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품의 비밀 (0) | 2018.03.09 |
---|---|
*아빠 닮은 아이, 더 건강하다 (0) | 2018.03.09 |
*물 얼마나 마셔야 좋을까 (0) | 2018.03.07 |
*혈압·혈당·스트레스 낮추는 '걷기'... 연령별 실천법은? (0) | 2018.03.06 |
*상황에 따라 다른 '올바른 걷기법' (0) | 2018.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