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운동을 할 때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숙지해야 하는 것은 적절한 강도다. 보통 걷고 나서 한 시간 뒤에 배고픔·졸림·피곤함 등을 느끼면 무리해서 걸은 것으로 본다. 이런 증상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만 걷고, 익숙해지면 서서히 걷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시간·빈도를 늘리면 된다.
성장기 청소년의 걷기 운동은 자세에 신경 쓰는 게 중요하다. 청소년들은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아 척추·관절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런 학생들이 1분 80m 정도 이동하는 '속보'를 자세를 익혀 실시하면 뼈와 근육을 더 튼튼하게 할 수 있다. 속보할 때는 보이지 않는 끈이 머리를 잡아당긴다는 느낌으로 목이나 어깨, 가슴을 펴고 실시한다. 시선은 10m 앞을 바라보는 게 좋다. 무릎은 서로 살짝 스치듯 걸으며, 팔을 앞뒤로 자연스럽게 움직인다.
학업과 취업 준비, 업무 등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20~30대는 틈나는 시간에 맞춰 '파워워킹'을 하면 좋다. 파워워킹은 스트레스 해소나 다이어트, 기초 체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보통 걷기와 달리기의 단점을 보완해 만든 걷기 운동을 파워워킹이라 하는데, 팔꿈치를 직각이 되도록 한 후 앞뒤로 가슴 높이 만큼 흔들면서 배에 힘을 주고 걷는다. 보폭은 자신의 키에서 1m를 뺀 정도가 적당하다. 1분에 90m 정도 이동하는 속도로 걷는다.
중장년층은 급하게 걷는 '급보'가 운동 효과를 높여 준다. 1분에 100~110m 이동하는 속도로 걷는다. 이렇게 걸으면,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빠르게 걷는 게 익숙하지 않은 상태라면, 속보를 1주일 정도 실시해 급보에 몸 상태를 맞춰야 한다.
노년층은 노르딕 워킹이 추천된다. 노르딕 워킹은 썰매를 탈 때처럼 스틱으로 땅을 밀어내듯 걷는 것이다. 양손에 쥔 스틱으로 체중이 분산돼 척추와 관절에 무리가 덜 가고, 신체 균형도 제대로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