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의 왕관 앵무새에서부터 아프리카의 열대어인 시클리드 어류에 이르기까지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생물 종은 짝짓기 상대와 용모· 행동이 비슷할 경우 생식 성공률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한 결과다.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파트너와 모습이 비슷하거나, 유사한 행동을 하면 행복감이 더 커진다.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똑같은 목표를 추구하고, 똑같은 가치관·인생관을 즐길 확률을 높여준다. 그렇다면 왜 그럴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학과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매우 중요하며, 우호성(agreeableness)이라는 특성의 경우 특히 그렇다. 성격 등 요인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도 파트너와의 유사성은 아침형 인간인지 여부, 정치적 태도의 공유 여부 등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 얼마나 많은 동질감을 공유하고 있느냐 하는 점이다. 두 파트너 모두 매우 성실할 경우, 두 사람 사이의 유사성이 유익하다는 건 당연하다. 미국 텍사스대 연구팀은 이를 ‘동질감 융합’(identity fusion)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한 파트너가 매우 불성실할 경우, 상대방은 그렇지 않고 더 성실해야만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일종의 ‘유익한 보상효과’다.
암스테르담대 연구팀은 미국의 장기간 결혼 상태를 유지한 커플 수천 쌍의 성격·웰빙·관계 만족도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반적인 웰빙에 단연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의 성격이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들은 파트너가 상대적으로 더 우호적이고, 더 성실하고, 덜 신경질적인 성격일 때 더 행복하게 느낀다.
그러나 그게 전부는 아니다. 완벽한 유사성(동질성)이 관계에 유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한 파트너와 똑같은 수준의 외향성은 전반적인 웰빙에 썩 좋지 않다. 또 성실성이 낮은 사람들 사이의 유사성은 양쪽 어디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독일 사회과학원은 약 5천 쌍의 커플을 대상으로 성격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뒤 5년 동안 추적했다. 그 결과, 개방성이라는 특성에서 유사성을 보인 커플들이 헤어지지 않고 함께 지낼 확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란드 바르샤바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성들은 파트너와 똑같은 일주기성 인자(chronotype)를 가졌을 경우 더 행복하다. 아침형 인간이든 저녁형 인간이든 파트너와 일치해야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또 성관계를 갖는 시간대에 대한 남녀의 선호가 똑같을 경우 성적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정치적 태도가 같아야 행복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단순한 규칙은 없다. 하지만 파트너와의 유사성이 행복감과 무관하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잘못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슬기로운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치 보관은 플라스틱 반찬통이 최적 (0) | 2018.10.23 |
---|---|
*아침에 일어나 커튼 걷으면 실내 박테리아↓ (0) | 2018.10.22 |
*약 없이 발기 부전 극복하는 법 (0) | 2018.10.19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0) | 2018.10.17 |
*고독 극복하는 방법 (0) | 2018.10.17 |